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7;26(2):220-226.
Original Article : The Efficacy of Once Weekly Compared with Two or Three Times Weekly Subcutaneous Epoetin Alfa (Espogen®)
Young Ki Lee, M.D., Hyung Seok Lee, M.D., Min Ha Joo, M.D., Seong Gyun Kim, M.D.Jang Won Seo, M.D., Ji Eun Oh, M.D., Jong Woo Yoon, M.D., Ja Ryong Koo, M.D.Hyung Jik Kim, M.D. and Jung Woo Noh,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idne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임상연구 :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Epoetin Alfa (에스포젠) 주 1회 요법과 주 2-3회 피하투여의 효과 비교
이영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신장연구소
Abstract
목 적: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 (epoietin)을 주 2-3회 피하 주사 하는 방법은 자주 주사해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주사할 때마다 매번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용량의 epoetin를 일시에 투여하여 투여 간격을 늘리는 주 1회 요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고용량 epoetin alfa의 주 1회 요법을 주 2-3회 피하 투여와 비교하여 그 효과와 안전성을 시험하였다. 방 법: Epoetin을 피하 투여 중인 혈액투석 환자 83명을 주 1회 투여군 (n=44) 또는 주 2-3회 투여군 (대조군, n=39)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각 군의 환자는 총 10회 방문 (스크리닝 2회, 이후 8회)하여 12주간 치료 반응을 관찰하였다. 주1회 투여군은 10,000 IU의 주사를 사용하여 정해진 용량의 epoetin alfa를 주 1회 투여하고, 대조군은 4,000 IU의 주사를 사용하여 정해진 용량의 epoetin alfa를 주 2-3회로 나누어 투여하고 혈색소 수치가 9.0-12.0 g/dL 유지하도록 용량을 조정하였다. 결 과: 투여 시작시, 4주, 8주, 12주에 혈색소는 주 1회 투여군은 10.7, 11.1, 11.3, 11.0 g/dL, 대조군은 10.5, 11.3, 11.5, 11.3 g/d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투여 시작시, 4, 8, 12주의 epoetin alfa의 평균 투여량은 주 1회 투여군은 142.8, 123.0, 116.7, 112.3 IU/kg/week이며, 대조군 128.4, 119.3, 103.5, 101.2 IU/kg/week으로서 주 1회 투여군에서 다소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Epoetin alfa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혈색소 수치가 유지된 환자의 비율도 주 1회 투여군 95.5%, 대조군 92.3%으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고용량 epoetin alfa의 주 1회 요법은 목표 혈색소를 유지하는데 있어 epoetin alfa를 2-3회 나누어 투여하는 방법과 효과와 안정성 면에서 비슷하였다. 따라서 안정적인 혈액투석 환자에서 고용량 epoetin alfa의 주 1회 요법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Key Words: Hemodialysis, Erythropoietin, Anemia
TOOLS
METRICS Graph View
  • 590 View
  • 15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301, (Miseung Bldg.) 23, Apgujenog-ro 30-gil, Gangnam-gu, Seoul 06022, Korea
Tel: +82-2-3486-8736    Fax: +82-2-3486-8737    E-mail: registry@ksn.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